T4번째 세계 (r36 Blame)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36
r1

(새 문서)
1 [include(틀:상위 문서, up=Neo Cosmos/세계)]
2 [include(틀:하위 문서, down=T4EX번째 세계)]
r11
124.58.119.233
3 [include(틀:Neo Cosmos)]
r12
4 ||<nopad><width=8.3%> ||<nopad><width=8.3%> ||
r32
5 ||<-3><tablealign=right><tablewidth=500><bgcolor=#294537><color=#DB864A><table bordercolor=#696967,#90909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0C0C0C 40%, #872B27,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bottom, #294336 75%, #535B50)"
6 [[파일:World T4 Icon.png|width=75]][br]'''{{{+4 T4번째 세계}}}'''[br]{{{+1 세 개의 행성을 소개합니다}}}[br]{{{-1 Intro to Three Planet movement}}}}}} ||
r12
7 ||<-2><bgcolor=#294537><nopad>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03942, #463150, #425B7C)"
r3
8 [[파일:World T4.png|width=100%]]}}} ||
r12
9 ||<-2><bgcolor=#294537><nopad>'''{{{+1 {{{#DB864A | 출시일}}}}}}''' ||
10 ||<-2>2022년 5월 31일(v2.0.0) ||
11 ||<-2><bgcolor=#294537><nopad>'''{{{+1 {{{#DB864A | 처음 등장하는 패턴}}}}}}''' ||
12 ||<-2>바람 행성 ||
13 ||<-2><bgcolor=#294537><nopad>'''{{{+1 {{{#DB864A | 분류}}}}}}''' ||
14 ||<-2>[[Neo Cosmos]], [[Neo Cosmos/세계#정규 세계|정규 세계]] ||
15 ||<-2><bgcolor=#294537><nopad>'''{{{+1 {{{#DB864A | 튜토리얼 개수}}}}}}''' ||
16 ||<-2>12개 ||
17 ||<-2><bgcolor=#294537><nopad>'''{{{+1 {{{#DB864A | 해금 조건}}}}}}''' ||
18 ||<-2>T3번째 세계 클리어 ||
19 ||<-2><bgcolor=#294537><nopad>'''{{{+1 {{{#DB864A | 관련 도전 과제}}}}}}''' ||
r28
20 ||<-2>[[A Dance of Fire and Ice#s-4.2|[[파일:World T4 Icon.png|width=30]]]] T4번째 세계 완료 ||
r1

(새 문서)
21 [clearfix]
22 [목차]
23 == 개요 ==
24 [[A Dance of Fire and Ice]]의 DLC [[Neo Cosmos]]의 정규 네번째 레벨인 '''T4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5 == 튜토리얼 ==
26 === T4-1 J ===
r32
27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28 T4-1[br]'''{{{+2 J}}}'''[br]{{{-1 The J}}}}}} ||
r27
29 ||<-6><nopad> [youtube(UZw_39Cm9Kw)] ||
r8
220.116.162.41
30 ||<width=25%> '''BPM''' ||<-3>135 ||
31 || '''타일 수''' ||<-3>24 ||
r33
32 || '''배우는 패턴''' ||<-3>직각삼각형 직후 홀드를 포함한 트레실로 ||
33 직각삼각형과 트레실로가 합쳐져 마치 J 모양을 이루는 패턴을 배운다.
34 직각삼각형이 끝나고 바로 트레실로의 첫 박자가 홀드이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
r8
220.116.162.41
35 === T4-2 트릴과 함께하는 등산 ===
r32
36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37 T4-2[br]'''{{{+2 트릴과 함께하는 등산}}}'''[br]{{{-1 Climbing Hills With Trills}}}}}} ||
r1

(새 문서)
38 ||<-6><nopad> [youtube(eJ11viRcU1o)] ||
r10
O:admin
39 ||<width=25%> '''BPM''' ||<-3>127.5 ||
r27
40 || '''타일 수''' ||<-3>29 ||
r34
41 || '''배우는 패턴''' ||<-3>45도 트릴 ||
42 얼불춤 커스텀 레벨을 많이 접해봤다면 익숙한 모양의 길일 것이다.
43 길이 지그재그로 꺾인 부분에서 원래 BPM의 4배의 속도, 즉 16비트로 처리하면 된다.
r10
O:admin
44 === T4-3 빠르고 느린 하이파이브 ===
r32
45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46 T4-3[br]'''{{{+2 빠르고 느린 하이파이브}}}'''[br]{{{-1 Hot & Cold High Fives}}}}}} ||
r10
O:admin
47 ||<-6><nopad> [youtube(uTywWBAT8zc)] ||
48 ||<width=25%> '''BPM''' ||<-3>127.5 ||
r1

(새 문서)
49 || '''타일 수''' ||<-3>25 ||
r35
50 || '''배우는 패턴''' ||<-3>미드스핀 ||
51 T2번째 세계에서 등장했던 불 타일과 얼음 타일, 그리고 노란색의 중앙 타일처럼 보석 타일 위에서 1박자를 진행하는 동안 지나가는 미드스핀 타일을 각 색깔에 맞게 처리하면 된다.
52 미드스핀의 색깔 별로 처리해야 하는 박자는 첫 박자 보석 타일 기준 다음과 같다.
53 빨간색(□■□□) / 노란색(□□■□) / 파란색(□□□■)
r27
54 === T4-4 리듬 게이밍 ===
r32
55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56 T4-4[br]'''{{{+2 리듬 게이밍}}}'''[br]{{{-1 Rhythm Gaming}}}}}} ||
r10
O:admin
57 ||<-6><nopad> [youtube(bX2CG3PYVfc)] ||
58 ||<width=25%> '''BPM''' ||<-3>127.5 ||
59 || '''타일 수''' ||<-3>35 ||
r36
60 || '''배우는 패턴''' ||<-3>복합 미드스핀 ||
61 이전 튜토리얼의 미드스핀 타일이 한 번에 여러 종류가 동시에 등장한다.
62 보석 타일 한 박자에 등장하는 여러 미드스핀 색깔의 각각의 박자를 모두 입력하면 된다.
r1

(새 문서)
63 === T4-5 부등변 삼각형 ===
r32
64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65 T4-5[br]'''{{{+2 부등변 삼각형}}}'''[br]{{{-1 Ah, The Scalene Triangle}}}}}} ||
r27
66 ||<-6><nopad> [youtube(uo6b8i44T2E)] ||
r10
O:admin
67 ||<width=25%> '''BPM''' ||<-3>127.5 ||
68 || '''타일 수''' ||<-3>27 ||
69 || '''배우는 패턴''' ||<-3>패턴 ||
70 === T4-6 몰아치는 삼연음 ===
r32
71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72 T4-6[br]'''{{{+2 몰아치는 삼연음}}}'''[br]{{{-1 Seeing Triple}}}}}} ||
r1

(새 문서)
73 ||<-6><nopad> [youtube(-ncNeQ8b2sc)] ||
r10
O:admin
74 ||<width=25%> '''BPM''' ||<-3>135 ||
r27
75 || '''타일 수''' ||<-3>19 ||
r10
O:admin
76 || '''배우는 패턴''' ||<-3>패턴 ||
77 === T4-7 이제 대각선이 약박입니다! ===
r32
78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79 T4-7[br]'''{{{+2 이제 대각선이 약박입니다!}}}'''[br]{{{-1 Offbeats are slopes!}}}}}} ||
r10
O:admin
80 ||<-6><nopad> [youtube(lJfyOa2Kyg4)] ||
81 ||<width=25%> '''BPM''' ||<-3>127.5 ||
r1

(새 문서)
82 || '''타일 수''' ||<-3>17 ||
r10
O:admin
83 || '''배우는 패턴''' ||<-3>패턴 ||
r27
84 === T4-8 비뚤어진 등반 ===
r32
85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86 T4-8[br]'''{{{+2 비뚤어진 등반}}}'''[br]{{{-1 Staggered Climb}}}}}} ||
r10
O:admin
87 ||<-6><nopad> [youtube(NezqZxi77U8)] ||
88 ||<width=25%> '''BPM''' ||<-3>127.5 ||
89 || '''타일 수''' ||<-3>34 ||
90 || '''배우는 패턴''' ||<-3>패턴 ||
r1

(새 문서)
91 === T4-9 가리키는 손가락 ===
r32
92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93 T4-9[br]'''{{{+2 가리키는 손가락}}}'''[br]{{{-1 Pointing the Finger}}}}}} ||
r27
94 ||<-6><nopad> [youtube(VsITIVLObWY)] ||
r10
O:admin
95 ||<width=25%> '''BPM''' ||<-3>127.5 ||
96 || '''타일 수''' ||<-3>33 ||
97 || '''배우는 패턴''' ||<-3>패턴 ||
98 === T4-10 거대한 삼각김밥 ===
r32
99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100 T4-10[br]'''{{{+2 거대한 삼각김밥}}}'''[br]{{{-1 Large Samosa}}}}}} ||
r1

(새 문서)
101 ||<-6><nopad> [youtube(G-QFoIFoInI)] ||
r10
O:admin
102 ||<width=25%> '''BPM''' ||<-3>127.5 ||
r27
103 || '''타일 수''' ||<-3>39 ||
r10
O:admin
104 || '''배우는 패턴''' ||<-3>패턴 ||
105 === T4-11 뒤집힌 삼각김밥 ===
r32
106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107 T4-11[br]'''{{{+2 뒤집힌 삼각김밥}}}'''[br]{{{-1 Inverted Samosa}}}}}} ||
r10
O:admin
108 ||<-6><nopad> [youtube(myLj7whSeAI)] ||
109 ||<width=25%> '''BPM''' ||<-3>127.5 ||
r1

(새 문서)
110 || '''타일 수''' ||<-3>39 ||
r10
O:admin
111 || '''배우는 패턴''' ||<-3>패턴 ||
r27
112 === T4-12 행운을 빕니다 ===
r32
113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9E4A48><table bordercolor=#696967><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C5142, #8B5C4A)"
114 T4-12[br]'''{{{+2 행운을 빕니다}}}'''[br]{{{-1 Good luck}}}}}} ||
r10
O:admin
115 ||<-6><nopad> [youtube(4S_MVV1XO1U)] ||
116 ||<width=25%> '''BPM''' ||<-3>67.5 ||
117 || '''타일 수''' ||<-3>16 ||
118 || '''배우는 패턴''' ||<-3>패턴 ||
r1

(새 문서)
119 == T4-X Third Sun ==
r10
O:admin
120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
r27
121 ||<-12><tablealign=center><tablewidth=650><bgcolor=#294537><table bordercolor=#696967,#909090><color=#DB864A>{{{#!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0C0C0C 40%, #872B27,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bottom, #294336 75%, #535B50)"
r10
O:admin
122 {{{+1 T4-X}}}[br]'''{{{+4 Third Sun}}}'''[br]{{{+1 [[Ash Astral|{{{#DB864A Ash Astral}}}]]}}}}}} ||
123 ||<-12><bgcolor=#294537><nopad> [youtube(_5OyiG-CY0s,width=650,height=366)]||
124 ||<-12><bgcolor=#294537><nopad>'''{{{+1 {{{#DB864A | 레벨 정보}}}}}}''' ||
125 ||<-3><width=20%> {{{-1 곡 길이}}}[br]'''{{{+3 2:37}}}''' ||<-3><width=20%> {{{-1 BPM}}}[br]'''{{{+3 150}}}'''[* 최대 타일 BPM 150, 체감 BPM 900] ||<-3><width=20%> {{{-1 타일 수}}}[br]'''{{{+3 600}}}''' ||<-3><width=20%> {{{-1 배속 목표}}}[br]'''{{{+3 x1.1}}}''' ||
126 ||<-12><bgcolor=#294537><nopad>'''{{{+1 {{{#DB864A | 주요 패턴}}}}}}''' ||
r1

(새 문서)
127 ||<-12>[include(틀:레벨 태그,tag1=3_Planets,tag2=Hold,tag3=Triplet)] ||
r10
O:admin
128 ||<-12><bgcolor=#294537><nopad>'''{{{+1 {{{#DB864A | 난이도}}}}}}''' ||
r27
129 ||<-4> {{{-1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edit?gid=1992961051#gid=1992961051|난이도 시트]]}}}[br]'''{{{+4 -}}}''' ||<-4> {{{-1 ADOFAI.gg}}}[br]'''{{{+4 -}}}''' ||<-4> {{{-1 TUF}}}[br][[파일:TUF Lv P6.png|width=40]] ||
r10
O:admin
130 T4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이다.
131 Neo Cosmos DLC에 추가된 세 번째 플레이 기믹인 '''3번째 행성'''에 대해 소개하는 정규 세계의 메인 레벨이다.
132 이전의 행성 2개가 서로를 공전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여기에 두 행성의 색 조합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색의 행성 하나가 더 추가되어 마치 길 위를 굴러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133 자유이동과 함께 또 다른 생소한 새로운 기믹으로, 기존의 행성 두 개가 공전하는 것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공전 시스템으로 그 진행이 기존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행성이 두 개일 때와 매칭되는 타일 모양의 박자도 달라진다. 이 부분은 튜토리얼을 통해 필히 숙지하는 것이 메인 레벨을 진행함에 있어 혼란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134 초~중반부는 기존의 T2, T3에 나왔던 보석 타일 위에서 이동하며 미드스핀 타일을 처리하는 기믹과 홀드가 등장하고, 레벨의 후반부에 노래의 템포가 바뀌면서 세프가 개입하여 3번째 행성이 추가된 상태로 길을 진행하게 된다. 등장하는 패턴은 튜토리얼에서 모두 등장하는 패턴이므로 각 패턴의 박자를 튜토리얼에서 충분히 숙지하면 쉽게 넘어갈 수 있다.
r1

(새 문서)
135 마지막의 유적 끝에 도착하면 플레이어의 행성들은 무사히 유적을 빠져나가게 되며 레벨이 마무리된다.
r10
O:admin
136 메인 레벨은 이전 T3세계에서 행해진 경주에서 찰라 탄이 패배하여 감독관이 플레이어를 유적 밑바닥으로 추방시켰고, 여기서 세프를 조우하게 되는데 세프는 감독관 몰래 추방된 플레이어를 유적에서 탈출하게 도와준다는 컨셉으로 진행된다.
r27
137
r10
O:admin
138 목표 배속은 1.1배로, 기본 BPM이 150에서 165로 증가한다. 가장 첫 번째 정규 세계인 1번째 세계와 기본 BPM이 같으므로 빠른 편은 아니지만, 중간중간 등장하는 16분박 트릴과 더 빠른 24분박 삼각형 [* 특히 이 부분부터는 아예 '''튜토리얼에서도 2키 사용을 권장'''할 만큼 빠르다.] 후반부의 3번째 행성 구간만 주의하면 배속 도전 또한 무난하게 클리어가 가능하다.
139 == 여담 ==
r31
140 * 2024년 11월 30일 기준 가장 튜토리얼이 많은 공식 레벨이다.
r10
O:admin
141 [[분류:공식 레벨]][[분류:DLC]]